항공정비 MRO 산업의 미래
항공정비 산업은 국가 중대 사업 중의 하나죠 나날히 발전하는 항공정비 산업 MRO 산업의 미래에 대해 논해 보도록 하죠
2026년 107조 '황글알' 전문업체육성 '기술경쟁력 높여야
자립기반 확충 전략산업화 해외진출
3단계 전략 기본계획 등 정책 마련
해외정비부문 외주 의존 탈피 과제
고급 정비사 등 전문인력 확보 시급
명실공히 항공 여행의 시대에요 연간 항공 이용객은 2016년 1억391만여명으로 처음 1억만명을 넘어서 2017년에도 1억 936만여명을 기록하는 등 꾸준히 늘고 있죠~ 항공 여행객이 늘면서 당연히 항공기 안전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어요
국내에서는 지난 2015년 국적항공사의 항공기 사고(준사고 포함)가 9건 발생한 이후 2016년 2건, 2017년에는 0건으로 점차 줄고 있어요
항공기 정비(MRO : Maintenance, Repair, Overhaul)산업은 국가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분야에요. 전 세계 항공기 보유 대수가 증가하는 만큼 MRO 시장도 커지고 있어요. 하지만 국내 MRO 산업 기반은 매우 취약하죠. 절반에 가까운 항공기들이 국내에서 정비를 받지 못하고 해외로 나가 정비를 받아야 하는 탓에 외화가 빠져나가는 구멍이 되고 있어요
정부는 제2차 항공산업발전 기본계획(2019~2019)과 항공 MRO 산업육성방안 등 항공 MRO 산업 기반을 마련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요. 1단계 자립기반 확충 ==> 2단계 전략 산업화 ==> 3안계 해외시장 진출 등 3단계 전략이에요. KAL, 한국공항공사, BNK, 미국 UNICAL, 하이즈항공, 에이테크,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등 8개사가 참여하고 총 135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에요
업계나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MRO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MRO 전문업체를 육성하고, 전문단지를 조성해 기술 경쟁력을 높여햐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어요. 전문 인력 양성도 가장 특 과제이기도 합니다.